*전문가의 마음치유력 시리즈*
1편. 이나미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잘라내는 연습"
3편. 남궁인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긍정적인 몰두"
5편. 심용희 펫로스 상담 전문 수의사의 "슬픔 인정하기"
코로나19 이후 상담의 주제가 달라졌을 것 같습니다.
이동이 자유롭지 못해서 생기는 갈등이 많아졌어요. 부부나 부모 자식 간이라도 다른 공간에 있어야 숨을 쉬는데, 한 공간에 있으니 갈등이 증폭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거기에 어떤 해답을 주세요?
사람마다 환경에 따라 갈등이 달라서 완벽한 정답은 없어요. 위로가 될 만한 마음의 태도는 나만 힘든 게 아니라 모두가 함께 겪는 상황에서 일어난 일이라는 거죠. ‘나에게만’ 이라는 생각에 갇힐 때 위험하거든요. 그리고 불필요한 걸 걷어낼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점이요. 남들이 다 가니까 갔던 해외여행, 남들이 다 하니까 해야만 했던 것들이죠.
코로나 블루를 겪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회적 문제로 여겨질 만큼 위험한 걸까요?
코로나19가 어떤 의미에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보다 위험하지 않아요. 하지만 갑자기 많은 사람들이 똑같은 병에 걸리니까 공포심이 생기는 거예요. 저는 그래도 조금은 낙관적으로 봐요. 이 바이러스에 대해 몰라서 불안 요소가 컸던 건데, 지금은 점점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에요. 다만 코로나19 환자의 가족이나 의료진들은 사회적으로 돌봄이 필요할 수 있어요. 가족이 아프면 간호하고 싶고, 손도 잡고 싶고, 옆에 있어주고 싶은데 그 기회를 박탈당했잖아요. 거기서 오는 충격이 있을 겁니다.
그런 마음의 충격을 어떻게 치유할 수 있을까요?
일단 아프면 전문가를 찾아서 정확하게 진단을 받아야 해요. 코로나 블루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양한 마음의 병도 원인이 복합적이거든요. 그리고 요즘엔 자신의 증상을 과하게 받아들이는 사람도 많아졌어요. 공황장애가 아닌데 자신이 공황장애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어요. 일상에서 즐길 거 다 즐기면서 어떤 특정한 부분에서 힘들다고 스스로 병을 진단해요.
그게 정말 위험해요. 병원에 갈 정도가 아니라고 느껴지면 신뢰할 수 있는 사람에게 털어놓는 것도 좋아요. 가족, 친구들이 큰 자산이에요. 나에게 상처를 주지 않을 것 같은 사람 한 명이면 충분해요. SNS 같은 불특정 다수에게 자신의 문제를 이야기하는 건 위험하니 온기가 있는 사람에게 도움을 받으세요.
가족이라도 자신의 문제를 털어놓는 건 쉽지 않을 것 같아요.
털어놓기 전에 자신을 좀 더 객관적으로 들여다보는 게 필요해요. 특히 외로움이란 건 건강한 사람의 감정이에요. 감정이 살아 있기 때문에 외로운 거거든요. 하지만 그 감정에 사로잡히는 건 건강하지 않은 거예요. 타인에게 사랑받지 못해서 힘들고 외롭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은데, 저는 사람이 누군가에게 인정받고 사랑받기 위해 태어났다고 보지 않아요. 인정과 사랑은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부산물이죠. 한 가지 팁을 말씀드리면 내가 먼저 인정해주고 사랑하고 돌봐줄 사람을 찾아보는 거예요. 시작을 내가 먼저 하면 선순환으로 돌아옵니다.
선생님의 마음은 건강한가요?
제가 60살인데 마음 건강 상태는 살면서 지금이 제일 좋은 것 같아요(웃음). 우리나라에서 젊은 여성으로 사는 건 힘들지만 할머니가 되면 편해요. 예를 들어 젊은 사람이 옷을 뒤집어 입고 나가면 온갖 상상을 붙이는데, 할머니한테는 그냥 눈이 안 좋은가 보다 정도로 끝나거든요.
내 나이를 받아들이면 마음도 편안해진다는 건가요?
나이를 즐길 줄 알아야 해요. 또 나이 들면서 자유로워진 것 중 하나는 차단을 할 수 있다는 거예요. 저는 사람이든 물건이든 근심 걱정을 안겨주는 것들을 잘라내요.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게 싫어서 식료품을 딱 필요한 만큼만 사고, 재활용 분리하는 게 귀찮아서 플라스틱 포장 제품을 거의 안 사요. 옷이나 신발도 명품을 사지 않아요. 싫어서가 아니라 아무리 관리를 잘한다 해도 흠집이 날 수 있고 잃어버릴 수도 있잖아요. 그럼 얼마나 괴롭겠어요.
미니멀라이프가 마음 건강법이네요.
맞아요.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도 비슷해요. 꼭 만나야 할 사람이 아니라면 ‘힘주는 사람’은 만나지 않아요. 지위, 명예 등을 내세우는 사람은 그걸 걷어내면 알맹이가 없거든요. 아, 그리고 365일 아침밥을 합니다. 아들 부부와 합가한 지 1년이 넘어가는데 아침밥은 무조건 제가 하고, 다 같이 먹거나 남편과 둘이 먹어요. 다들 바쁘니까 저녁 시간을 맞추기는 힘든데 아침은 시간이 제법 잘 맞거든요. 그 시간이 주는 힐링이 분명히 있어서 이 루틴은 꼭 지켜요.
기획 서희라 사진 박형주(율스튜디오)
[이런 기사는 어때요?]
>> 어머니가 나 몰래 남동생에게 준 집, 유류분 청구하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