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

반려견을 키우는 보호자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단어, 슬개골탈구. 수술을 해야 할지 관리만으로 괜찮을지가 난제다. 우리 아이의 슬개골탈구 정도를 알고 수술 여부를 판단해보자.

 

 

 

슬개골탈구란

 

 

강아지의 뒷다리 무릎 부위에 위치하는 슬개골은 위아래로 인대와 근육이 연결되어 뒷다리의 전체적인 정렬을 맞춰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당연히 이러한 슬개골이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면 뒷다리 전반의 정렬이 흐트러지게 되고, 가벼운 통증에서 시작해 극단적으로 전십자인대 파열 등의 큰 합병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슬개골이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슬개골 탈구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나타난다. 대부분의 경우가 유전적이거나 선천적인 문제고 후천적으로 심한 관절염이나 외상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슬개골은 구조상 움푹 들어간 활차구안에 위치한다. 이러한 활차구를 형성하는 주변의 뼈의 높이가 낮아지며 슬개골이 빠지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인데, 상대적으로 체격이 작은 소형견들은 안쪽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고, 체격이 큰 대형견들은 바깥쪽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다. 탈구된 슬개골의 위아래 위치에도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도 존재한다.

 

 

슬개골탈구 초기

 


소형견의 비율이 훨씬 높은 우리나라 특성상 대부분의 경우 슬개골의 안쪽탈구다. 활차구 형태를 구성하는 안쪽의 뼈가 선천적으로 낮은 경우 과도한 산책, 미끄러짐, 순간적인 강한 충격 등에 의해 슬개골이 탈구되는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 질환 초기에는 일시적인 진통제 복용, 휴식을 통해 임상증상의 개선을 기대해볼 수 있다. 또 다시 힘을 주면 원래의 위치로 슬개골이 돌아오고 별 문제 없이 일상적인 생활을 이어갈 수 있지만, 이러한 상황이 반복될수록 슬개골 주변 관절에 염증이 유발되고, 뼈의 마모, 주변 인대의 손상 등이 진행되며 탈구의 정도가 점점 악화되는 것이다. 결국 증상이 악화됨에 따라 약물을 통한 통증 개선은 점차 힘들어지고 결국 수술을 통한 교정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렇게 관리하세요

 


선천적이거나 유전적인 원인이 많은 만큼 증상을 악화시켜 수술에 이르게 하지 않는 노력이 중요하다. 첫 번째로는 체중관리이다. 과도한 체중은 관절 부위에 비정상적인 부중을 유발하여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 관절의 염증은 슬개골탈구 또한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개체마다의 적절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 번째는 발바닥 털 문제이다. 야외 활동이 많은 강아지의 경우 마모에 의해 발바닥의 털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야외 활동이 많지 않은 강아지의 경우 발바닥 털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경우에 발바닥 털에 의한 미끄러짐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이는 관절 부위에 상당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발바닥에 털이 많은 경우 주기적으로 털을 제거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 발톱 길이의 문제다. 발바닥 털과 마찬가지로 야외활동이 많은 경우 마모에 의해 발톱이 자연스럽게 적절한 길이로 유지된다. 하지만 야외활동이 많지 않은 경우 비정상적으로 길어진 발톱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이는 발바닥의 통증에서 시작되어 뒷다리 전체 정렬에 큰 문제를 유발 할 수 있다. 2~3주에 1번 발톱과 발바닥 털을 제거해주는 보호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수술을 통한 교정 후에도 이어져야 한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

 


슬개골탈구의 수술은 수의사마다 나름의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약물로 해결되지 않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파행이 있다면 수술을 권고할 수 있다. 슬개골탈구가 장시간 파행을 유발한 경우 십자인대의 손상 또한 병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슬개골탈구에 대한 교정수술과 함께 십자인대파열의 교정 또한 함께 진행될 수 있다. 수술의 방법 또한 다양하다. 탈구의 정도나 관절부위 상태 등을 고려해 담당 수의사와의 세부적인 상담 과정이 중요하다. 수술 이후에는 앞서 언급한 체중 조절과 함께 물리치료, 수중운동 등을 통한 재활운동에도 힘쓰는 것이 수술 후 문제의 재발과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기획 임소연 노현우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졸업 후 임상수의학대학원에서 외과/안과, 치과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안과, 치과 전문 수의사로 블로그(blog.naver.com/pablo301)를 통해 여러 진료, 수술 사례를 상세히 알려주고 있다. 보호소에서 입양한 믿음직하고 얌전한 강아지 ‘미남이’를 키우고 있는 중.

 

 

[이런 기사 어때요?]

 

 

>> 밤새 벽 보고 있는 노견, 치매인가요?

 

>> 라쿤은 어쩌다 생태계위해우려 동물이 됐을까?

 

>> 재개발로 집 잃은 길고양이, 이사할 수 있을까?

이전글

고양이도 심장사상충 걱정해야 하나요?

다음글

서른 살이 된 동물보호법, 제대로 가고 있을까

댓글
댓글

펫방 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