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
‘아, 이곳이 가장 아름다웠을 때는 일제강점기 시절이었겠구나.’ 쇠락해가는 목포 구도심의 모습을 보고 이런 장탄식이 나왔다. 번화로 일대는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목포의 중심가 ‘본정통(혼마치)’이었던 상업지구였다. 드론 촬영을 위해 사진기자와 옛 초원관광호텔(현 초원실버타운) 옥상에 올라 이 지역을 내려다보았을 때 그런 생각이 들었다.
번창했던 구도심의 기록들
목포역과 목포항 사이의 이곳은 서울로 치면 명동에 해당하는 지역인데 1980년대까지 목포 상권의 중심이었다가 이후 점차 쇠락한다. 보통 지방 도시의 구도심이 쇠락하는 이유는 시청이나 도청이 이전하거나 신도시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부터다. 목포도 마찬가지다. 하당 신도시와 전남도청이 들어선 남악 신도시 쪽으로 상권이 이동하면서 구도심의 공동화현상이 심화되었다.
목포는 여기에 몇 가지 이유가 더해진다. 목포는 항구다. 항구도시의 핵심은 해상운송이다. 그런데 목포 북항이 생기면서 목포항은 기능이 크게 약화되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섬 인구가 줄어들면서 목포항을 통해 섬에 드나들던 사람들도 줄었다. 그러다 보니 번창했던 목포항 일대는 쇠락할 수밖에 없었다.
수산업 기준으로 보자면 신안의 섬들이 생산도시였고 목포는 소비도시였다. 생산도시가 쇠락하면 소비도시 또한 쇠락하는 것은 불문가지다. 압해대교 건설로 신안의 섬들이 연륙되면서 목포항을 이용하는 인구는 더욱 줄었다. 어업 인구도 줄어서 목포항 인근에는 항동시장을 제외하고는 선구점 정도만 겨우 명맥을 이어나갈 정도로 상권이 약해졌다. 빈 건물이 즐비한 번화로는 낮에는 그럭저럭 상가 꼴을 갖추고 있지만 밤이 되면 일제히 불이 꺼져 을씨년스럽다.
번화로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쇠락한 이곳에 남은 고객은 이제 노인들뿐이다. 초원관광호텔이 초원실버타운으로 바뀌었고 거리의 큰 건물 여러 채가 노인 요양 시설로 탈바꿈했다. 손혜원 전 의원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일었을 때 이곳에서 오랫동안 선구점을 해왔던 분을 만났는데 그는 이렇게 말했다.
“뉴스를 보고서야 손 의원이 이곳에 건물을 샀다는 것을 알았다. 상권이 죽어서 돈을 줘도 안 들어갈 곳인데 그렇게나 많이 샀다고 해서 의아했다. 손 의원에게 건물을 넘긴 사람은 팔고 나가는 것이 아니라 팔고 탈출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지난 20년 동안 이곳 땅값은 떨어지기만 했다.”
쇠락한 도시에 일어난 변화의 움직임
번화로는 조용히 쇠락하지 않았다. 나름의 발버둥이 있었다. 목포시는 이곳을 활성화하기 위해 그동안 여러 사업을 벌였다. 얼마 전까지 이 거리의 이름은 ‘1897 개항문화거리’였다. 관련 사업도 제법 진행되었다는 것을 거리에 남은 여러 흔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런 번화로의 몸부림 중 하이라이트는 차이나타운 조성 시도였다. 목포국제여객터미널에 중국 크루즈가 들어선다는 이야기가 나오자 이곳을 차이나타운으로 조성하자는 움직임이 일었다. 100여 년 전 일본인들이 조성했던 거리가 살아남기 위해 중국인들의 거리로 바뀌었다면 역사의 아이러니가 될 뻔했다. 아무튼 이런 요란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한번 죽은 상권을 다시 살려내지는 못했다.
하지만 번화로가 이런 모습만 있는 것이 아니다. 번화로는 가운데 목포진공원을 중심으로 나뉘는데 오른쪽은 일제강점기에 상가였다. 반면 왼쪽은 일본인이 거주하던 ‘남촌’으로 구 일본영사관 건물과 구 동양척식회사 건물 등 적산가옥이 많이 남아 있다. 해방 이후에도 이곳은 목포의 대표적인 부촌으로 발전했다. 조선내화 창업주였던 이훈동 회장의 저택을 비롯해 보해양조 사장의 저택 등 목포 유지들의 집이 대부분 이 동네에 있다.
목포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원도심 투어
간단한 곳이 아닌 복잡한 목포를 제대로 느낄 수 있게 해준 사람이 있다. 목포 원도심에 ‘괜찮아마을’을 구축한 홍동우 공장공장 공장장이다. 손혜원 사태 이후 1년 반 정도 지났을 무렵 홍 공장장에게서 연락이 왔다. 목포 원도심 투어를 개발했는데 답사를 와달라는 것이었다. 익스퍼루트라는 전국 일주 투어를 진행하던 그였기에 기대를 품고 목포에 달려갔다.
여행 기획자로서 가이드를 평가하는 기준이 있다. 크게 네 가지다. (1) 어디를 가느냐, (2) 그곳을 언제 가느냐, (3) 가서 무엇을 하느냐, (4) 그리고 무슨 얘기를 하느냐를 본다. 일반인은 어디를 가느냐를 가장 중요시하는데, 사실 이건 평가 기준이라기보다 기본이다. 그리고 여행지 정보는 이미 널려 있다. 선택만 하면 된다. 내가 보는 것은 플랜 B다. 새로운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디를 대신 가느냐’에 대한 대처 능력으로 평가한다.
‘언제 가느냐’는 어디를 가느냐보다 훨씬 복잡한 사고력을 요한다. 보통은 코스를 짜면서 동선만 고려하는데 똑똑한 가이드는 그 장소의 시간을 산다. 일출에 갈지 일몰에 갈지, 배부를 때 갈지 배고플 때 갈지, 힘 있을 때 갈지 지쳤을 때 갈지, 장소를 결정할 때 시간을 감안해서 결정한다.
가서 무엇을 하느냐로는 가이드의 태도를 볼 수 있다. 원래 여행이라는 것은 데려다주면 끝이다. 가서 무엇을 하게 하느냐의 관점에서 설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처음 가는 사람은 가서 무엇을 하면 좋은지 잘 모른다. 가이드는 이 부분을 준비해 여행의 재미를 높여준다.
마지막은 ‘가서 무슨 얘기를 하느냐’는 것이다. 이는 가이드의 격조를 보여준다. 격조가 없는 것은 무의식중에 드러나고 격조가 있는 것은 행동 하나하나에 배어난다. 이런 네 가지 요건을 만족시키는 가이드는 천시와 지리와 인화를 두루 고려한 여행을 설계할 수 있다. ‘유달산 미식 여행’이라는 이름으로 목포 원도심 투어를 이끈 홍동우 공장장은 이 네 가지 요건을 만족시킨 가이드였다.
지역의 문화, 삶, 옛 기록을 체험하는 투어
홍 공장장을 처음 만난 곳은 관매도였다. 강기태 여행대학 총장과 함께 ‘섬청년탐사대’를 만들고 관매도에 ‘섬마을 도서방’을 구축했는데 그때 함께했다. ‘직장인을 위한 여행’이라는 콘셉트로 여행을 기획하던 그는 양복을 입고 여행했는데 그때도 양복을 입고 왔다. 그런 그의 모습을 보고 ‘도시인을 위한 자발적 섬 유배’ 때 참가자들이 출퇴근 때 입는 ‘오피스룩’을 입고 섬에 들어가도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가이드로서도 홍동우는 역시 최고였다. 그는 목포 사람이 아니다. 그런데 목포 이야기를 누구보다도 재미있게 들려주었다. 스스로 목포를 즐기는 사람이기 때문이었다. 목포를 좋아하고 목포의 여인과 결혼해 목포의 사위가 된 그는 ‘목포와의 사랑’을 들려주었다. 건성으로 지나칠 수 있는 곳도 그 안에 담긴 사연을 나긋이 들려주었다. 목포를 재미있게 안내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목포에 대한 ‘여행자의 시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마치 함께 여행하듯 목포 구도심을 안내했다.
때로는 가난하기 때문에 누릴 수 있는 감성의 호사가 있다. 홍동우는 그 시선을 포착했다. 보리마당 언덕의 일출이 그랬다. 가파른 언덕 마을인 보리마당에는 가난한 선원들이 주로 살았다. 살기에 불편한 곳이었지만 덕분에 좋은 전망을 누릴 수 있었다. 조금 때가 되면 항구에 들어오는 남편과 아빠의 배를 기다리며 목포항을 보며 맞는 일출은 뭉클했다. 가난하기 때문에 누릴 수 있는 호사를 우리도 잠깐 경험할 수 있었다.
홍 공장장은 항구도시의 거친 삶을 보여주고 싶어 했다. 비록 간발의 차이로 경매 모습을 보지 못했지만 목포수협 위판장 견학이나 철수 시점에 가서 조금 아쉬웠던 도깨비시장 견학은 목포인들의 치열한 삶을 엿볼 수 있어서 좋았다. 그가 여행자를 이끄는 동선은 자연스러웠지만 철저히 계산된 동선이었다. 길에서 스탠딩으로 홍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설정을 해두었다.
선원들이 차가운 배 속을 녹이던 장어탕과 총리 맛집으로 불리는 오거리식당 생선구이는 가성비 좋은 맛집이었다. 목포시의 야경을 내려다보면서 마시는 뱅쇼, 목포대교 아래에서 바닷바람을 맞으며 먹었던 컵라면 그리고 몸을 녹일 수 있는 석유곤로까지, 치밀한 준비가 돋보였다. 그와 함께여서 모든 순간이 좋았다. 이런 로컬 크리에이터를 보유한 것은 목포의 복이라 할 수 있다. 올해는 일주일 동안 조용히 머무는 스테이 프로그램도 개발했다고 해서 기대가 된다.
기획 이인철 글 고재열(여행감독) 사진 고재열, 괜찮아마을 주민들
[이런 기사 어때요?]
>>동네마다 생기는 무인 아이스크림가게, 얼마나 벌까?
>>3000만원 투자한 무인애견샤워장, 창업 1년 후 수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