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가족의 행복여행 상편

기사 요약글

50대 건강 치매가족의 행복여행

기사 내용

01. 아는 만큼 이해하고, 나누는 만큼 가벼워지는 병 치매

치매는 빠르면 50대 이후부터 뇌 기능이 손상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 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은 다양하다.

흔히 '알츠하이머'라고 말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50%를 차지하며 혈관성 치매가 20 ~ 30%를 차지한다. 미국 전 대통령 레이건이 "나는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습니다" 라고 대국민 편지로 밝혀 더욱 심금을 울린 알츠하이머는 명명된 지 이제 갓 100년이 넘었을 뿐이다.

1907년 독일 정신과 의사 알츠하이머 박사가 최초 보고한 이래 여러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확실한 발병기전이나 원인은 아직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치매라는 말은 'dementia'라는 라틴어에서 기인했다. 마음, 정신(mentia)을 잃는다(de)는 뜻인데 번역 과정에서 '어리석다'는 뜻으로 단순화되었다.

 

미국정신의학회에서는 2013년부터 새로운 진단 체계를 도입하면서 '치매'라는 용어 대신 '신경인지장애'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치매'라는 단어 뒤에 숨어 있는 부정적 뉘앙스를 없애는 것이 시작이라는 생각에서다.

 

영화 <스틸 앨리스>는 유능한 여교수이자 세 아이의 엄마인 앨리스가 치매를 앓으면서 변화하는 과정을 잔잔히 그려 호평을 받았다. 영화에서 앨리스는 처음에는 자신의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지만 점점 자신의 변화에 익숙해진다. 어둡기만 할 줄 알았던 치매에도 맑은 날이 있다는 것. 앨리스는 말한다.

'좋은날에는 일반인 연기가 되는데 나쁜 날엔 내가 누군지 모르겠어'라고.

우리도 제대로 알아두자. 치매는 '노망'이 나서 나쁜 사람이 되는 게 아니다. 단지, 나의 어떤 부분들은 잃어가도 여전히 어떤 부분은 건재한 '신경인지장애'다.

02.과대평가도, 과소평가도 하지 마!
 

1. 치매는 낫지 않는 불치병이다?

흔히 치매라고 통칭하지만 '치매'를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다. 그중 어떤 원인은 적절히 치료하면 치매 증상이 낫거나 개선되기도 한다. 그런데도 치매에 대한 오해 때문에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치료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치매의 10% 정도는 '낫는 치매'이니 치매 치료를 포기한 10명 중 1명은 귀한 기회를 스스로 날려버리는 셈.

 

2. 치매 환자들은 공격적인 언사와 분별없는 행동, 기억장애로 일상생활이 불가능하다?
물론 이런 상황이 드라마에만 나오는 건 아니다. 실제 환자들도 '주변 사람들에게 심한 욕을 하고' '썩은 음식을 준다고 밥상을 뒤엎고' '며느리의 머리카락을 쥐어뜯는' 행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 단계에서 약물치료 등으로 잘 대처하면 치매 초기의 모습을 몇 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기억하자. 기억력을 잃는다고 반드시 인격이 망가지는 것은 아니다.

 

3. 고스톱은 치매 예방에 좋다?

할 일 없이 지내는 부모님에게 치매 예방으로 고스톱을 권유하는 것까지는 좋다. 특히 고스톱을 전혀 모르는 상태라면 효과가 꽤 있을 수 있다. 자기의 패를 확인하고 맞는 패를 찾는 과정에서 뇌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니까. 그러나 이미 고스톱에 익숙하고 자주 치는 부모님이라면 본능적이고 반사적으로 패를 내놓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패 선택부터 점수 계산까지 컴퓨터가 해주는 모바일 화투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4. 치매는 수개월 내에 상태가 악화된다?

영화 <내 머리 속의 지우개>나 드라마 <천일의 약속>에 나오는 여주인공들은 치매에 걸린 지 수개월 만에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악화된다. 그러나 사실 그녀들이 걸린 '가족형 알츠하이머 치매'는 전체 치매의 1%밖에 안 되는 희귀 치매일 뿐, 실제 보통의 치매는 그렇게 급격하게 상태가 악화되지 않는다.

 

5. 치매에 걸리면 결국 모든 기억을 잃는다?
아니다. 치매에 걸리면 뇌세포가 파괴되면서 기억을 차츰 잃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경우에 따라 치매 진단을 받고 5~10년이 지나도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기억에 문제가 없는 경우도 많다.

 

6. 치매 치료약을 먹으면 바보가 된다?
치매 약을 먹으면 바보처럼 아무것도 못하고 멍하니 앉아 있게 된다는 오해 때문에 치매 약을 거부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치매 약 중 공격성이나 망상 장애를 억제하는 약물을, 의사의 처방보다 더 많이 먹을 경우 정신이 멍해지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의사의 진단에 따라 적정량을 복용하면 부작용은 없다. 그러니 걱정 말고 약을 잘 챙겨 먹어야 한다.

 

7. 치매에 걸리면 성욕이 감퇴된다?
오히려 뇌 상태가 변해 통제력과 자제력을 잃으면서 상당히 강한 성욕, 즉 '성욕 과잉(hypersexuality)'을 느낄 수 있다. 병이 악화되면 환자는 가끔씩 엉뚱한 사람에게 성적 관심을 보일 수 있으니 보호자는 극도의 인내심을 발휘하여 신중히 헤쳐나가야 한다.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