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혼주의를 선언한 딸, 어떻게 설득하죠?

기사 요약글

어느 날 갑자기 결혼을 하지 않겠다며 비혼주의로 혼자 살겠다는 작은 딸. 좋은 남자 만나 알콩달콩사는 게 인생의 행복이건만 대체 왜 그러는 거야?

기사 내용

 

 

A씨 부부는 요즘 30대 중 후반인 두 딸 때문에 이래저래 걱정이 많다. 큰 딸은 결혼 3년 만에 이혼을 했고, 작은 딸은 일찌감치 ‘비혼’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큰 딸을 통해 자녀가 결혼을 했어도 마음놓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막상 작은 딸이 “결혼조차 하지 않겠다!”고 비혼주의자임을 선언하니 뜨거운 바위 덩어리가 가슴을 짓누르는 듯한 심정으로 살고 있다.

 

비혼주의자란 '결혼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이라고 생각하는 이'를 일컫는 말이다. 미혼은 혼인상태가 아님을 뜻하지만 비혼은 혼인할 '의지'가 없음을 말한다. 

 

나이가 차면 좋은 짝을 만나 결혼하고, 결혼했으면 애 낳고 살아가는 옛날 시나리오의 부모 생각을 거부하는 자녀 세대와 대화를 어떻게 이어가야 할지 A씨 부부는 늘 고민이다. 오늘은 작정을 하고 함께 살고 있는 둘째 딸과 대화를 시도해보기로 했다.  

 

 

CASE 엄마아빠는 미혼 아니면 기혼밖에 없어요?

 

남편: “인생에 정답은 없는 거다. 결혼 안 할거다! 딱 정해놓고 인생 살 거 뭐 있겠니? 연애하다 보면 결혼하고 싶은 마음이 들 수도 있는 거지.”  
아내: “그래. 지난번에 말했던 엄마 친구 아들 한번 만나봤으면 좋겠어. 부담 없이 만나서 대화 해봐. 엄마는 너가 괜찮은 사람을 못 만나서 그런거라 생각해. 20대에는 결혼할거라고 했다가 갑자기 바뀐거잖아. 엄마 말은 사람 일은 모른다는 말이야. 딱 선을 긋지는 말라는 거지.”   
: “두 분의 세상은 미혼이냐, 기혼이냐 딱 두가지 선택지만 있죠? 미혼도 아니고, 기혼도 아닌 비혼은 왜 인정 안 해주나요? 지금 하는 일 하면서 충분히 먹고 사는데 결혼해서 싸우고 희생을 강요당하고 돈 때문에 싸운다는 것도 싫어요. 행복하게 사는 부부를 못 봤어요. 언니만 해도 그렇잖아요. 엄마 아빠 성화에 밀려 결혼했는데 결과가 뭐예요? 차라리 하지 말지. 조카만 불쌍하잖아요.”
남편: “너 지금 나이가 몇이냐? 벌써 30대 중반이야. 지금 하는 일 언제까지 할 거 같으냐?”
: “그래서 더 열심히 자기계발하고 이 분야에서 오랫동안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요. 내년에는 저도 독립할게요.” 
아내: “집을 나가는 건 아니야. 그런 말 하지말아라.” 
: “집 나가는게 아니고, 독립하겠다고요. 방 하나 얻을 돈 정도는 모아놨어요.”

 

 

부모, 자녀와의 대화가 편안하고 부담이 없으려면 강요나 논쟁으로 가면 안 된다.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듣는 태도’이다. 내가 하고 싶은 말만하면 그것은 더 이상 쌍방향 대화의 기능을 잃게 된다. 지시, 명령, 강요, 평가는 상대의 마음을 닫게 하고 방어하게 만든다. 

 

부모는 자녀의 결과적인 상황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그 이면에 깔려있는 심리적인 상태에 더 주목해야 한다. 딸이 비혼주의를 선언하기까지의 생각이나 의견을 소중히 다뤄야 한다는 것이다. 부정적인 시각으로 단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금물이다. 

 

만약, 자녀의 이야기를 ‘잘’ 들어줄 수 없다면, 차분하게 부모인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부터 가져봐야 한다. 혹시 부모의 과거 경험 때문에 왜곡된 잣대로 자녀를 대하는 것은 아닌지, 그로 인해 강요하는 태도를 취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봐야 한다. 자녀를 올바른 길로 잘 인도하기 위해서는 부모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자기 점검의 시간이다. 

 

 

 

 

Solution 왜 생각이 바뀐거니?

 

남편: “아빠가 인생을 살아보니, 인생에 정답은 없는 것 같다. 결혼도 마찬가지지.” 
: “맞아요. 그래서 예전에는 어디를 가면 미혼? 기혼? 두가지 질문만 있었는데 요즘은 비혼도 묻더라고요. 이제 눈치 안보고 살아갈 수 있다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아내: “그래. 당당하게 자기 주관을 갖고 살아가는 거지. 뭐. 그런데 엄마는 그때 듣긴 했는데 지금도 한편으론 또 궁금한 구석이 있더라. 너 20대에는 결혼할거라고 했는데, 왜 30대에 생각이 바뀐 건지.”
: “엄마. 내가 남자 몇 명 만나봤는데 난 진짜 싸우는게 정말 싫거든. 그런데 이상하게 어느 순간 싸우게 되더라고. 그때 생각했어. ‘아. 결혼해서도 이렇게 싸우면서 살게 되겠구나’ 하고. 그거 말고도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어떻게 보면 그게 결혼하지 말아야지 결정한 결정타였어.” 
엄마: “그랬구나. 우리 딸. 싸우는게 얼마나 싫었으면. 어렸을 때부터 넌 유독 싸우는거 싫어했지. 엄마, 아빠가 너 어렸을 때 너무 많이 싸우는 모습 보여줘서 그 영향도 많이 받은 것 같아 늘 미안했어.”  
: “맞아. 난 어렸을 때 어른들이 정말 이해 안되고 무섭기만 했어. 그래서 엄마 아빠 싸울 것 같다 하면 내가 겁먹고 먼저 울었잖아. 그러면 엄마 아빠 내 앞에서 안 싸웠으니까!”
남편: “그랬지. 기억나고 말고. 그것 때문에 우리 딸들에게 지금도 많이 미안하지. 아빠도 그땐 왜 그랬나 모르겠다.” 
엄마: “그런데 너 혹시 이런 말 안들어봤니? 싸움도 사랑하는 마음 있어야 한다는 거. 관심 없는 사람과는 싸울 일도 없어. 지금 생각하면 그때의 열정이 그리울 때도 있어.”  
: “알지. 싸운다는 것은 그만큼 상대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는 거니까요.” 
남편: “넌 어렸을 때니까 싸움만 더 크게 부각되었을거야. 그런데 아빠도 고백할 게 있는데 엄마하고 좋았던 시간이 더 많았어.” 
: “그게 문제라니까요. 싸우고 나서 화해하는 모습도 보여줬어야 하는데 그건 둘이 몰래 하고... 난 정말 그것도 이상 했어.” 
남편, 아내: “맞네, 맞아! 그랬어야 했는데.” 

 

 

첫째, 자녀 마음을 들여다보자 

 

연애관, 결혼관 정립에 대한 왜곡의 원인을 찾다 보면 어린시절의 상처와 맞물려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부모의 부부관계가 안 좋거나 부부싸움이 잦은 경우, 그러한 과정을 가장 가까이에서 고스란히 지켜봐야 하는 자녀들의 마음에는 상처가 쌓여 간다. 성인이 되었다 할지라도, 부모는 어떤 상황에서도 자녀의 마음이 많이 드러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고, 치유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  

 

 

둘째, 신뢰의 경험을 도와라

 

이성과 좋은 관계 경험은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결혼 가치관도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게 만든다. 그러나 어떤 경우라도 내 자녀를 신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부모만은 언제나 ‘내 편’에서 생각해 줄 것이라는 믿음을 저버리게 해서는 안 된다. 자녀가 올바른 연애관, 결혼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돕되 부모의 생각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자녀와의 대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건강한 이성관이 녹아들도록 부모 자신도 노력해야 한다. 

 

 

 

 

기획 서희라 김숙기 사진 셔터스톡

 

 

[이런 기사 어때요?]

 

>> 트라우마는 평생 극복할 수 없나요?

 

>> 탈모 예방은 여름 하기 나름, 여름철 탈모 관리법

 

>> 숲 속의 책방, 책방 주인으로 사는 법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