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전업 주부 됐는데, 왜 이렇게 짜증이 날까?

기사 요약글

뜻대로 안되는 게 인생인가? K씨는 퇴직 후 작은 일자리라도 구할 수 있을 줄 알았다. 괜한 눈치만 보다가 결국, 줄어드는 통장 잔고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 아내가 취직을 하면서 문제가 시작됐다.

기사 내용

 

퇴직 후 8개월째 집에서 지내고 있다. 모아둔 돈도 얼마 없는데다 퇴직금은 중간정산을 한 터라 턱없이 부족하다. 생활비를 아무리 쪼개고 줄여본다 해도 긴 노후를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하다. 그러던 어느 날, 아내가 고민 끝에 특단을 조치를 내렸다. 결혼 이후 직장이라고는 다녀본 적 없는 사람이 생활비라도 벌어야겠다며 대형마트에 취직한 것이다. 동네 사람들과 마주치기 싫다는 이유로 생활 반경에서 떨어진 근무지를 선택했고 출퇴근 거리만큼 나 홀로 아내를 기다리는 시간이 늘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감당해야 할 집안일과 식사준비 등은 내 몫이 되었다. 

 

그동안 집안일에 관여하지 않았던 나로서는 매일 직면하는 상황이 낯설고 당혹스럽다. 여자들이 상식처럼 아는 가사노동의 기초 지식이 전혀 없다는 것에 스스로도 놀라울 정도였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매번 면박을 주는 아내와의 갈등이 현실을 더욱 불안하게 몰고 간다는 사실이었다. 

 

 

CASE 이제 돈 번다고 유세네

 

아내: “집에 있는 냄비란 냄비, 집기란 집기는 다 꺼내놓고 왜 제자리에 안 두는 거야? 또 싱크대 이 흥건한 거품을 좀 봐. 기름이 잔뜩 튄 가스레인지 주변은 어떻고!” 
남편: “으아, 힘들다! 그럴 수도 있지, 왜 화를 내? 친절하게 알려줘야 나도 할 마음이 들 거 아냐!” 
아내: “당신의 문제는 뭔지 알아? 조금만 생각하면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건데. 집안일에 주인 의식이 없다는 거야!”
남편: “몰라서 못하는 거지. 나도 열심히 했다고. 당신에게 이런 말까지 들어야겠어?”
아내: “시키니까 마지못해서 하는 일, 날 돕기 위해 하는 일, 이 순간만 임시로 하는 일, 안할 수도 있는데 하는 일로 생각하니까 딱 그 정도의 결과가 나오는 거잖아. 마지못해, 할 수 없이, 어쩔 수 없어서... 내 말 틀렸어?”  
남편: “이제 돈 번다고 유세네. 그러려면 당장 그만둬!”
아내: “나는 당신 돈 벌러 다닐 때 이렇게 하지 않았다고!”

 

 

부부는 역할분담을 통해 가정을 일궈 나가게 되어 있다. 한쪽이 제 몫을 해내지 못하면 배우자가 그 만큼의 부담을 껴안아야만 한다. 특히 가사노동이라는 것이 매 순간 매일 일어나는 일이다보니 한쪽이 부지런히 그 업무를 수행하지 않으면 바로 표가 나고 순식간에 일거리가 쌓인다.  

특히 퇴직 후에는 K씨 부부처럼 그동안 해왔던 역할에서 벗어나 반대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가는 사람이 많다. 고정관념, 고정화된 성역할 등을 얼마나 내려놓느냐가 관계의 건강성의 지표가 된다. ‘나는 역할에 대해 얼마나 유연하게 대처가능한가?’ 체크해볼 일이다.

 

아내가 하려는 말은 “나는 당신 직장 다닐 때 그러지 않았는데 당신은 왜 그러는가?” 이다. 아내는 업무 스트레스와 가정일을 각각으로 놓고 차분히 생각해야 한다. 남편에 대한 원망이나 서운함, 억울함을 풀지 못한 채 감정해소용으로 대화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다시 부부대화를 시도해 보자. 

 

Solution. 당신 입장에서 그럴 수 있어

 

아내: “여보, 나 너무 피곤하네. 냄비 좀 제자리에 넣어 주고, 정리 좀 부탁해. 나는 오늘 집안일 아무것도 못할 거 같아.” 
남편: “그래. 쉬어. 나도 한다고는 하는데 안해본 걸 하려니 너무 서툴러서 당신이 볼 때 엉망일것 같아. ”  
아내: “그건 그래. 당신이 설거지 한 다음에 보면, 꼭 내 손이 다시 가야하잖아. 씽크대 거품, 가스레인지 기름 튄 거 이런 거 볼 때마다 사실 좀 마무리까지 잘 해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할 때가 많아.”  
남편: “안 해본 일이라 그런가봐. 집안일을 해보니 해도 끝이 없고 표도 안나더라고. 예전에 당신에게 ‘하루종일 집에서 놀면서 뭐하고 있냐’고 했던 게 문득 떠올라서 미안했어.”  
아내: “그렇게 말해주니 고맙네. 나도 돈 벌러 나가보니 남의 돈 버는게 이렇게 힘든 거였구나 싶어. 당신도 그동안 가족 벌어 먹이려고 고생했어. 내가 ‘생활비 적다’고 투덜거렸을 때 당신 마음 많이 무거웠을텐데.”
남편: “앞으로 일이든 집안일이든 함께 하자고. 고마워.”

 

 

모르는 게 또는 부족한 게 죄는 아니다. 그러나 모르거나 부족하다는 걸 알았을 때는 상대가 지적하기 전에 각자 체크해보고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인정’은 노력해보지도 않고 하는 것이 아니라 최선을 다했는데도 잘 안되었을 때 ‘여기까지!’라고 인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배우자도 동의하고 상대를 인정해준다. “그래. 당신 열심히 했어.” 라고. 

 

스트레스 받았을 때는 마음관리가 우선이다. 이때에는 ‘멈춤’이나 ‘대화 중단하기’가 유효한 방법이다. 그 다음 역지사지의 관점을 갖고 “당신 입장에서 그럴 수 있어.” 대화로 풀어가야 한다. 함께 한 세월 속에 과거 잘못하거나 미흡했던 표현, 풀지 못했던 감정들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고 기회 있을 때마다 풀어낸다면 부부의 긴 노후는 든든하게 보장될 것이다. 

 

 

기획 서희라 김숙기 사진 셔터스톡 

 

 

[이런 기사는 어때요?]

 

>> 푹 꺼진 눈두덩이 때문에 나이들어 보여요

 

>> 매운 음식 자주 먹으면 암에 걸린다고?

 

>> 평범한 직장인이 1000권의 책을 읽으면 어떻게 될까?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