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없어 5평 집 지어 살았는데 사람들이 몰려든 이유

기사 요약글

서울에서 인테리어 사업을 하다 그야말로 ‘폭망’해 반강제로 부모님 집으로 귀촌을 했다. 부모님 댁에 얹혀 사는 것도 하루 이틀. 눈치가 보여 부모님 과수원 한편에 작은 집 하나 지어 살았더니, 그게 전화위복이 될 줄이야.

기사 내용

 

 

 

문건호·손정현 부부는 미술학도로 결혼 후 인테리어 사업을 했다가 크게망했다. 전세집이 월세집이 되고, 종국엔 월세 비용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자 과수원을 하는 부모님 집으로 살림을 옮겼다.

 

부모님 집 남는 방에서 지냈지만 다 큰 아들과 며느리, 손녀 그리고 나이 든 부모가 갑자기 한집에서 오순도순 산다는 건 그리 쉬운 일은 아니었다. ‘캥거루족이 된 부부는 곧 떠날 결심을 했다. 부모님 집 앞 사과밭에 작은 집을 지어 분가를 하기로.

 

처음에는 집을 짓는다는 생각보다 작은 휴식 공간을 만들어보자는 생각이었어요. 그러다가 하는 김에 샤워를 할 수 있는 세면 시설을 만들고, 작은 주방도 하나 만들고 하다 보니 작은 집이 된 거죠. 말이 집이지 현관도 없이 전면 창으로 되어 있는 공간이었어요.”

 

사과밭에 판넬을 엮어 지은 집은 허름해 보일지 몰라도 부부는 여기서 산 6년을 가장 행복한 시기로 꼽는다. 겨울에 춥고 여름에 더운 집이지만 통창으로 쏟아지는 햇빛이 마음에 여유를 가져다주었고, 통창 너머 시시각각 바뀌는 사계절 풍경은 삶을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바꿔주었기 때문이다.

 

돈도 없고 힘들 때 어쩔 수 없이 지은 집이었는데 자신감이 생기더라고요. 길거리에 갑자기 나 앉아도 버틸 수 있을 것 같은 힘이랄까요? 그때 집을 직접 지어 산다는 게 이렇게 자존감이 올라가고 행복한 일이니, 다른 사람들도 자기 집을 지어봤음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작은집건축학교의 시작

 

 

부부는 집을 좀더 간편하고, 합리적으로 지을 수 있는 공법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건축을 전공한 전문가가 아닌 미술학도로서 다양한 실험을 하며 둘만의 데이터를 쌓아갔다.

 

그러다 딸 친구의 부모가 집을 짓는데 도와달라는 부탁을 해왔다. 새로운 공법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였다. 작은 창고를 빌려 그곳에서 자재를 만들고 보관하면서 집을 지었고, 인연은 또 다른 인연 낳아 2년간 전국 곳곳으로 다양한 집을 지으러 다녔다. 이 시기는 부부가 다시 일어날 수 있는 힘을 갖게 된 때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열심히 집을 지으러 다녔지만 경제적으로는 바닥을 치고 있는 상황이었어요. 어떻게 먹고 살아야 하나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보니 우리에게 남은 건 집 짓는 방법을 안다는 것이었어요. 원래 집을 지을 때 목조, 설비 등 각기 다른 전문가가 붙어서 하나의 집을 완성해요. 그런데 저희는 전문가와는 다른 방법으로 집을 짓는 전 과정을 알고 있으니 사람들을 불러들여 가르쳐주자고 생각이 기울었죠.”

 

 

 

 

부부는 한겨레 교육문화센터에 제안서를 넣었고, 한겨레는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작은집건축학교 수업을 개설했다. 아무도 오지않을 줄 알았던 첫 수업에는 8명이 참여했다. 그리고 조금씩 좋은 반응을 얻으며 수업을 이어갔고, 부부는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 자기 집을 짓고 싶은 로망과 현실의 반비례를 경험한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것.

 

집을 짓는다는 건 평생 번 돈을 투자해 삶의 로망을 실현하는 일이다. 가장 행복한 기억으로 남아야 마땅하지만 건축주와 건축업자가 만나 그 로망을 완성시키기엔 분명한 한계가 존재했다.

 

건축주가 된다고 가정하면 누구나 그 집에 모든 욕망을 투여할 수밖에 없죠. 하지만 집을 짓는 사람 입장에서는 현실적 어려움을 이해시키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타협안을 만들어가야 해요. 쉽게 말하면 건축주의 로망을 접게 하는 입장이라 그 사이에서 오해가 생기는 일이 많고 심하면 로망을 악몽으로 남기게 되죠. 이런 경험을 가진 분들이 저희 작은집건축학교로 찾아오기 시작했어요.”

 

 

팔리지 않은 작은집들은 수강생들의 숙소로 쓰이고 있다

 

 

작은집마을을 꿈꾸며

 

 

작은집건축학교가 2라운드의 문을 열어 주었으나 형편이 크게 나아진 건 아니었다. 수업료는 자재 구입과 수강생들의 식사비로 충당하고 진짜 수익은 만든 집을 판매해야 얻을 수 있었기 때문. 수업을 들은 수강생 우선으로 집을 판매하는데, 팔지 못한 집은 고스란히 마이너스다.

 

“1년에 만든 집 중 절반을 판매하면 입에 풀칠하고, 다 팔면 좀 편안하게 살 수 있는 상황인데 작년에 두 채가 안 팔려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고민하다가 유튜브에 소개 영상을 올렸어요. 원래 친목 도모 목적으로 있던 채널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올린 건데, 조회수가 막 올라가더니 언론에서 취재 요청이 들어오고 수강 문의가 폭주하는 거예요. 그러면서 올해부터 상황이 급반전됐어요. 연말까지 수업이 모두 마감되고, 대기 인원도 생겼죠. 솔직히 3개월 전까지 실수령액을 계산해보면 200만원도 안 됐어요.”

 

 

 

 

작은집건축학교 수업은 8일간 함께 숙식하면서 5.5평짜리 작은 집을 처음부터 끝까지 짓는 과정이다. 정말 8일만에 집을 지을 수 있을지 기대 반 의심 반으로 온 수강생들은 직접 공구를 만지고 땀방울을 흘리면서 작은 집에 매료된다.

 

실제로 같은 기수로 수업을 들었던 사람들 대부분은 꾸준히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며 자신의 꿈을 이야기한다고. 지금까지 건축학교를 거처간 수강생은 약 400. 나이도, 하는 일도 모두 다르지만 집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이들을 연결하는 끈끈한 끈이 됐다.

 

부부는 작은집건축학교가 이들을 잇는 다리 역할을 했다는 것에 삶의 위안을 경험하면서 또 다른 꿈을 키우고 있다.

 

집을 짓고 싶어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귀농귀촌을 희망합니다. 하지만 결심도 쉽지 않고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1년 살아보기’ ‘한 달 살아보기프로젝트로는 정착이 어렵죠. 좀더 오랜 시간 머무르며 적응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그 기간 동안 거주할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요.

 

그런데 저희가 만드는 작은 집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이를테면 자신들이 지은 작은 집을 모은 작은집마을을 만드는 거예요. 함께 적응하며 귀농귀촌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주말주택처럼 분리된 생활도 가능하죠.

 

시골에서 삶은 집 안보다는 집 밖 생활 위주로 살 수밖에 없어요. 마을 전체가 커뮤니티가 되면 공동 육아도 가능하고, 함께 독서 모임을 하거나 밤이 되면 모닥불을 피워 사람들과 파티도 열 수 있을 거예요. 요즘 사회 문제가 되는 고독감을 느끼는 시니어도 없을 거고요.”

 

자신들이 직접 지은 작은 집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작은집마을. 부부의 꿈이 그리 먼 일처럼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작은 집을 통해 새로운 삶의 문을 연 긍정의 경험이 고스란히 녹아 있기 때문이리라.  

 

 

기획 서희라 사진 박충렬

 

 

[이런 기사 어때요?]

 

>> [전성기TV] 초보 귀농자분들, 저처럼 땅 때문에 X고생하지 마세요...

 

>> 일당 15만~25만원, 건축도장기능사에 도전해볼까?

 

>> 소규모 건축에 좋은 땅, 어떻게 찾을까?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