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 취업의 진실(feat. 해외 취업)

기사 요약글

퇴직한 중년의 재취업 일자리로 각광받는 한국어교원. 불과 2~3년 전만 해도 열심히 문을 두드리면 나이가 있어도 취업이 가능했다. 그런데 요즘엔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는데....

기사 내용

 

 

 

넘치는 한국어교원

 

한국어교원은 국내외 대학 및 부설 기관, 한국어 수업이 개설된 초·중·고등학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사람을 말한다.

한국어교원이 되기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부여하는 한국어교원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데, 국내 다문화가정 및 한국 문화를 배우려는 외국인이 꾸준히 늘고 있어 은퇴 이후 두 번째 직업으로 꿈꾸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이 발표한 2018년 한국어교원 합격자는 6685명으로, 2008년 배출한 한국어교원이 842명인 것을 고려할 때 10년 만에 약 8배 늘어났다.

흥미로운 건 모든 연령대에서 자격증 취득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20~30대의 경우 해외 단기 및 장기 거주 계획을 가지고 일을 구하려는 목적으로, 40대는 본업을 가지고 있으면서 미래에 대한 대비로, 50대는 퇴직 후 재취업을 위한 목적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직종과 마찬가지로 20~30대와 취업 경쟁을 해야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어교원 교육 기관에서 홍보하는 것과 달리 실제로 퇴직 후 한국어 교원으로 재취업에 성공한 중년의 사례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이유다. 

 

 

나이와 돈이 문제, 결국 해외로

 

한 대학교 어학당에서 7년 동안 교원으로 학생들을 가르쳐 온 김희옥 씨(53세)는 올해 초 학교와 재계약을 포기했다. 7년 전 교원으로 일을 할 당시 일주일에 20시간 정도 강의를 했던 그녀는 최근 몇 년 전부터 강의 시간이 점점 줄더니 지난해 일주일에 8~9시간 정도밖에 강의 시간을 받지 못했다. 

“법이 바뀌면서 주 15시간 이상 강의하면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학교에서는 정규직 채용이 힘드니 강의시간을 줄인 것인데, 강의시간이 줄면 급여도 줄어드는 거라 내부적으로 말이 많았어요. 그러면서 교원을 희망하는 젊은 지원자는 넘치고 저처럼 경력이 오래되고 나이가 많은 강사는 시간당 강사료가 젊은 사람보다 높으니 알게 모르게 눈치를 주더라고요.” 

1년 단위의 계약직으로 근무를 했던 그녀는 지금까지 별다른 문제없이 계약을 연장해왔으나 지난번에는 갑자기 이력서를 제출하고 재면접을 보라는 통보를 받았다. 한국어교원 자격증 1급 외에 영어 능력 및 석사학위까지 있었고 지난해 학생들이 내리는 강의 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받았던 터라 학교의 통보가 납득이 가지 않았다. 

“결국에는 나이와 돈이 문제였어요. 예전에는 교원들이 자기 수업만 잘 챙기면 됐어요. 그런데 요즘에는 수업 외 시간에 행정 일도 시키는데, 강의 시간 외 업무는 돈을 주지 않으니 저처럼 나이 많은 사람한테 시키기 어려우니까 불편한 거죠. 그래서 결국 교원 생활 7년만에 포기한 거예요.”

그녀는 함께 교원을 했던 동료의 이야기도 들려주었다. 국내 손꼽히는 대학에서 중국어를 전공하고 박사학위까지 취득해 10년 넘게 교원으로 일했지만 50세에 가까워지면서 재계약이 되지 않고 1차 서류 전형도 통과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자 결국 중국의 한 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고. 

“어떤 직업이든 젊은 사람을 선호하기 마련이죠. 한국어교원도 마찬가지예요. 젊은 고학력 고스펙 교원들이 이쪽으로 몰리고 있어요. 젊은 친구들이 이쪽 일을 하는 걸 뭐라고 하진 않아요. 다만 중년 직업으로 교원 자격증을 광고하는 글을 보면 솔직히 마음이 좋지 않아요. 자격증을 땄다면 중년은 해외 취업을 노리라고 추천하고 싶네요.”

 

 

Interview

 

송연숙(45세)
스펙 : 국어국문학 학사 졸업, 한국어교원 2급 자격증
이전 : 방송작가 
현재 : 태국에서 2년 계약으로 한국어교원으로 일한 지 1년째

 

현재 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가?

태국의 한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중이다. 주말을 제외하고 매일 출근해 일주일에 약 9시간 수업을 한다. 한국어를 가르치는 일 외에 제기차기, 한복 입기 등 한국 문화를 알려주는 수업도 한다. 태국은 현재 한류가 절정이라 한국에 긍정적 이미지를 갖고 한국어뿐 아니라 한국 문화를 배우고 싶은 학생이 많다.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따게 된 계기는?

국문과를 전공한 것도 한국어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이었고, 졸업 후 사회에 나와 일을 하면서 외국인들을 접할 기회가 많았다. 그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한국어를 가르쳐주고 싶다는 생각이 점점 커졌고, 교원 자격증을 따기 위해 회사에 다니면서 한국어학과로 편입해 교원 공부를 했다. 

 

해외 취업을 선택한 이유는?

대외적으로는 조금이라도 젊을 때 해외에 나가서 일을 해보고 싶다고 했지만 실은 한국에서 교원으로 취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러 곳에 이력서를 냈지만 면접조차 볼 수 없었다. 그러던 중 자원 봉사 개념의 해외 취업을 알게 됐다. 이곳도 경쟁률이 높았지만 다행히 성공해 나올 수 있었다. 무엇보다 여기에서 쌓은 경력은 한국에서도 인정돼 나중에 돌아갔을 때 재취업을 시도해볼 수 있다. 

 

국내 취업 실패 이유를 생각해보자면?

몇 번의 이력서를 내고 실패하면서 그 이유를 알게 됐다. 교원자격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취업하고 싶어하는 대학교 어학당, 특히 서울과 수도권은 석사학위 이상이어도 나이가 많고 경력도 없으면 취업이 어렵더라.

교원을 관리하는 학교 측 사람들 모두 40대 미만으로 젊은 교원과 일하고 싶어하고 예전과 달리 공부보다는 한국의 문화나 한국 취업을 위해 온 학생들이 많아 젊은 강사를 선호해, 나이가 많은 사람이 들어오면 애초에 서류 전형에서 탈락시킨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누구나 채용할 만한 엄청난 스펙과 경력이 있지 않고서는 사실상 취업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학교 어학당이 아니더라도 작은 교육센터 등에도 30대 교원이 몰린다. 학사 졸업에 무경력, 40대라는 나이 장벽까지 있는 나는 당연히 안 될 수밖에. 

 

 

태국에서의 근무 환경은 어떤가? 

봉사의 개념이 강하긴 하지만 약 60만원 정도의 보수가 주어진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관사에 살면서 추가로 드는 생활비는 다달이 지원받는다. 관사지만 현지인들 주거지와 거의 같아서 환경이 좋다고 말할 수는 없다. 1년 내내 더운 나라임에도 에어컨은 물론 선풍기가 없는 경우도 있고 정전과 단수도 흔하다. 

 

같이 취업한 동료도 있나?

함께 들어온 사람들이 있긴 하지만 지역이 달라 만나기는 어렵다. 그리고 동료라고 하기엔 대다수 50대 이상으로 연령대가 다 높다. 교직 공무원, 고위 공무원 퇴직자가 많은데 해외에서의 삶을 경험하고 싶거나 제2의 직업을 찾아서 온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제2의 직업이라고 해도 보수보다는 대부분 인생의 보람이나 자기계발에 큰 뜻을 둔 사람들이다. 

 

힘든 점은 무엇인가?

태국이 개발도상국이라는 것을 알고 왔기 때문에 일상 생활의 불편함은 참을 수 있다. 하지만 현지인의 도움을 받을 일이 많은데 영어도, 태국어를 잘 못하는 외국인으로 소통하기 어려운 것이 가장 힘들다.

현지어를 열심히 배워야 수업을 할 때도 즐거운데 나이가 들어 전혀 모르는 언어를 배우는 것이 쉽지 않다. 어떤 중년 교원은 태국어를 잘 익히지 못하면서 오는 고립감과 외로움을 견디지 못해 일찍 한국으로 돌아갔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이 외에는 의료 시설이 열악한데 한국에서 걸리지 않는 병에 걸릴 위험성도 있어 그 점이 걱정된다. 

 

좋은 점은 무엇인가?

상황이 힘들긴 하지만 아이들을 대하는 것 자체는 상당히 재미있고 즐겁다. 아이들이 순수한 면이 있어서 수업을 할 때면 오히려 내가 위로를 받는다는 느낌이 강하다. 주변 동료들도 아이들이 주는 힐링 때문에 버틸 수 있다는 말을 서로 많이 한다. 봉사 개념으로 와서 아이들을 가르친다면 분명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기획 우성민

 

 

댓글
댓글
검은눈동자
나이와 돈 ,,,나이듦이 더 걱정되네요.자격증이 있어도 막상 취업할 수 없는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라서 ..해외 취업도 그리 쉬운 결정이 아니라 절은이들도 힘든데 일자리 찾는일이 보통이 아니에요.
2019.10.08
대댓글
김*실
몇 년전만 해도 한국어교원자격증을 따면 괜찮다고 들었는데, 실제로 중장년층이 취업의 발판으로 삼기엔 현실의 벽이 높네요. 해외취업도 쉽지 않지만 현지적응의 어려움과 급여도 적어서 많이들 힘들겠어요.
2019.10.10
대댓글
안*민
한달에 60만원이면 식비로 다 쓰겠네요 ㅡ.ㅜ 석사 한학기가 500만원인데 10개월 60만원씩 모아야 한학기 등록금 헐.....월급이 60 ㅠㅠㅠ
2020.12.08
대댓글
박*찬
이게 몃 년도 글이죠?
2023.12.18
대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