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금융 이해력은 몇 점일까?
자산관리
3,776
2018년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전 국민 금융 이해력 조사를 실시했다. 금융 이해도와 금융 지식의 실제 활용 능력에 대한 조사다.
Q1. 물가상승률을 3%로 가정하겠습니다. 1천만 원을 받기 위해 1년을 기다려야 한다면, 1년 후에 받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은 지금 돈을 받아서 사는 경우와 비교하여 어떻겠습니까?
① 지금 돈을 받아 사는 경우보다 더 많은 물건을 살 수 있음
② 동일한 양의 물건을 살 수 있음
③ 지금 돈을 받아 사는 경우보다 더 적은 물건을 살 수 있음
④ 구매하려는 물건의 종류에 따라 다름
(주관식) Q2. 연이율 2%의 비과세저축성 예금에 저축한 후 추가 입금과 출금이 없다면 1년 뒤 예금계좌에는 얼마가 남아 있겠습니까?
Q3. Q2 문항의 비과세저축성 예금계좌에 백만 원을 복리이자로 5년 동안 입금해둔다면 5년 후에 이 계좌에는 얼마의 금액이 있겠습니까?
① 110만 원 초과
② 정확히 110만 원
③ 110만 원 미만
④ 주어진 정보로는 계산 불가능
Q4. 수익률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큰 위험을 수반할 것이다.
① O ② X
Q5. 높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율은 생활비가 빠르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① O ② X
Q6.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는 여러 종류의 주식에 분산투자를 해야 투자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① O ② X
정답
Q1. ③ 지금 돈을 받아 사는 경우보다 더 적은 물건을 살 수 있음
(설명) 0.03% 만큼 물가는 올랐다.
Q2. 102만원
(설명) 100만×0.02+100만원(원금)=102만원
Q3. ① 110만원 초과
(설명) 100만원(원금 합계)+10만5079원(이자)=110만5079원
Q4. ① O
(설명) 어떤 사람이 귀하에게 큰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제안해 온다면 그것은 큰돈을 손해 볼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Q5. ① O
(설명) 물가상승은 가계 생활비 증가를 가져온다
Q6. ① O
(설명) 돈을 여러 곳에 투자하면 돈을 전부 잃어버릴 가능성이 낮아진다.
사진 셔터스톡
[이런 기사 어때요?]
>> [전성기TV] 나 나이 90살, 아직도 현역으로 일하는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