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건강 - 저혈당증과 당뇨병
건강∙간병
3,722
당뇨병의 원인
수치로 보는 당뇨병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구분 | 2009년환자수 | 2010년환자수 | 2011년환자수 | 2012년환자수 | 2013년환자수 |
---|---|---|---|---|---|
전체 | 1,899,223 | 2,005,708 | 2,160,988 | 2,217,143 | 2,314,116 |
남 | 1,004,278 | 1,063,512 | 1,152,227 | 1,187,185 | 1,244,095 |
여 | 894,945 | 942,196 | 1,008,761 | 1,029,958 | 1,070,021 |
당뇨병환자가 운동하는 방법
매일 규칙적으로 할 수 있는 운동이 바람직합니다.
통근시간을 이용하여 걷기,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계단을 오르기, 아침 체조, 일주일에3∼4회 씩 자전거타기 등 여러 가지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운동의 시기는 비만 환자이고 식사요법만 하는 경우라면 식전과 식후 어느 때나 해도 좋으며,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을 사용하고 있는 환자라면 식후에 운동을 하는 것이 저혈당의 예방을 위하여 좋습니다. 각자의 건강 상태와 취미에 따라 하되, 정적인 운동과 동적인 운동을 매일 생활화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운동시간은 가능한 매일 같은 시각에 실시하며 가급적이면 식후 30분에 시작하여 30분 내지 1시간 씩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당뇨병의 원인
과도한 운동은 근육에 무리를 가져오고 저혈당의 위험을 높입니다. 특히 공복시의 운동이나 장기간의 산행은 저혈당의 위험성을 더욱 증가시킵니다. 운동요법이 아무리 당뇨병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하여도, 당뇨병 상태와 합병증 유무에 따라서 안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1시간 운동할때 소모되는 칼로리표
걷기 (5.6km/h) | 골프 | 자전거(9.6km/h) |
---|---|---|
240~300 | 240~300 | 240~300 |
볼링 | 계단 오르내리기 | 에어로빅 |
240~300 | 130 | 300~3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