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도인지장애란?
* 동일 연령대에 비해 인지기능, 특히 기억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
*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되어 있어 아직은 치매가 아닌 상태
* 정상노화와 치매의 중간 단계
2. 관련 통계
* 5년간 환자 수 4.3배 증가
-
- 2010년 24,602명, 2014년 105,598명 -> 연평균 증가율 43.9%
- - 증가이유
¤ 치매의 예방과 조기발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증가
¤ 2010년부터 전국 보건소 중심으로 치매선별검사 등 조기검진사업 수행
*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보다 2배 많음
-
- 남성 33,718명, 여성 71,880명 -> 2.1배 많음
☞ 2014년 기준
- - 여성이 많은 이유
¤ 여성들의 높은 평균수명과 보호 작용을 하는 여성호르몬의 감퇴 등
* 65세 이상 유병률 : 28%(약 178만명)
3. 경도인지장애 환자와 정상인의 치매 진행 정도
* 65세 이상 경도인지장애 환자 : 매년 10~15% 치매로 진행
* 65세 이상 정상인 : 매년 1~2% 치매로 진행
* 시사점
-
- 경도인지장애는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치매를 비교적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단계
- -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치료를 시작하면 치매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
4. 경도인지장애 진단 기준
* 기억저하에 대한 불편 호소
* 나이에 비해 분명한 인지기능장애
* 기억손상 외에 다른 영역은 비교적 정상
* 일상생활은 정상이거나 약간 저하
* 전문가 의견이나 진단기준에는 치매가 아님
5. 치료 및 관리법
* 인지훈련 및 인지재활
* 위험인자 관리 : 고혈압, 당뇨, 고콜레스테롤혈증, 흡연, 비만 등
* 뇌 건강을 위한 좋은 생활습관
- - 규칙적인 운동
- - 금연 및 절주
- - 활발한 사회활동
- - 적극적인 두뇌활동
6. 중앙치매센터에서 권하는 예방수칙 3.3.3
* 3勸(즐길 권)
- - 일주일에 3번 이상 걷기
- - 생선과 채소 골고루 먹기
- - 부지런히 읽고 쓰기
* 3禁(참을 금)
- - 술은 적게 마시기
- - 담배는 피지 말기
- - 머리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기
* 3行(챙길 행)
- - 정기적으로 건강검진 받기
- - 가족, 친구들과 자주 소통하기
- - 매년 치매 조기검진 받기
출처 - 서울대학교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정봉은 보험연구원 연구위원 이코노믹 리뷰 인터뷰 기사 2015년 3월 26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