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건강 - 안과질환 편
건강∙간병
3,784
대표적인 안과 질환
* 망막장애: 눈 안에 있는 신경층(눈에 들어온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신경을 통해 뇌에 전달)의 장애.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 망막박리 등
* 백내장: 빛의 초점을 맞추는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안구 내 투명한 조직인 수정체에 혼탁이 생겨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는 질환
* 녹내장: 시신경의 장애로 안압상승 또는 여러 가지 위험요인에 의하여 초래된 시신경 병증과 이에 따른 시야결손을 보이는 질환
☞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안과협회에서 발간한 ‘눈 건강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에서 명시한 눈 질환을 기준
주요 안과 질환 통계
* 진료인원
- - 망막장애 : 2008년 54.2만명, 2012년 85.8만명, 연평균 증가율 12.2%
- - 녹내장 : 2008년 36.8만명, 2012년 58.4만명, 연평균 증가율 12.2%
- - 백내장 : 2008년 88.5만명, 2012년 106.2만명, 연평균 증가율 4.7%
* 연령별 진료인원 비율
- - 망막장애 : 40세미만 12.3%, 40대 11.0%, 50대 21.9%, 60대 26.5%, 70세이상 28.4%
- - 녹내장 : 40세미만 19.6%, 40대 15.8%, 50대 22.1%, 60대 21.6%, 70세이상 23.8%
- - 백내장 : 40세미만 1.1%, 40대 3.6%, 50대 13.6%, 60대 33.7%, 70세이상 50.2%
☞ 2012년 기준
* 1인당 진료비
- - 망막장애 23.6만원
- - 녹내장 9.1만원
- - 백내장 38.5만원
☞ 2012년 기준
* 수술 인원
- - 망막장애 : 수술인원 9.9만명, 수술인원 비율 11.6%, 1인당 수술비 138만원
- - 백내장 : 수술인원 28.4만명, 수술인원 비율 26.7%, 1인당 수술비 115만원
☞ 2012년 기준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안과학회가 제안하는 눈 건강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
- 약시를 조기에 발견하려면 되도록 빨리 만4세 이전에 시력검사를 받는다.
- 백내장, 녹내장 등의 질환은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높아지므로 40세 이상 성인은 정기적으로 눈 검사를 받는다.
- 혈당과 혈압, 혈중지질이 높으면 당뇨망막증의 진행이 빨라지므로 당뇨병과 고혈압, 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한다.
- 눈을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렌즈를 착용하면 시력과 눈 건강에 장애가 발생하므로 콘택트렌즈를 착용 할 때 의사와 상담한다.
- 흡연은 백내장의 위험요소이므로 담배는 반드시 끊는다.
- 자외선은 백내장의 유발요인이므로 야외활동 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모자 또는 선글라스를 착용한다.
- 실내의 건조한 공기는 겨울철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므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한다.
- 지나친 근거리 작업을 피하고 어두운 곳에서 독서나 작업을 하면 근시가 되므로 실내조명을 밝게 유지한다.
- 산업재해나 교통사고로 인한 눈 손상은 눈 질환의 주요 요인이므로 작업과 운동 시 적절한 안전 보호 장구를 착용한다.
출처- 국민건강보험 <‘망막장애’ 건강보험 환자 매년 10% 이상 증가> 2014년 4월, <2012 주요 수술 통계> 2013년 11월, 보건복지부<눈 건강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 2012년 3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통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