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

 

정보 과잉 시대, 미디어 문해력에 대하여

 

과거에 비해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도 다양해지고 복잡해졌습니다. 여러분은 주로 어떤 경로를 통해 정보를 얻나요? 또, 새로 접한 뉴스는 어떻게 수용하시나요? <전성기>에서 50+의 뉴스 소화력 실태와 생각을 들어보는 설문조사를 진행합니다.

 

"뉴스 채널을 선택하는 기준은?"

"가짜 뉴스에 대해 내가 느끼는 심각성은 어느 정도?"

 

 

아래 제시된 20개 문항에 답해주세요!

추첨을 통해 총 20분께 신세계/이마트 모바일 상품권(5천원권)을 보내드립니다~

 

 

 

▶ 참여 방법

 

아래 문항 설문에 답한 후 '참여하기' 클릭

 

※ 당첨확률 높이는 TIP

이 리서치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해주세요!

(페이지 우측 '링크공유' 클릭)

공유 수 높을수록 당첨확률 UP!

 

 

▶ 참여 기간

 

2020년 9월 15일(화)~9월 25일(금)

 

 

▶ 당첨자 발표

 

2020년 9월 28일(월)

 

 

※ 유의사항

 

- 당첨자 발표는 전성기 사이트 내 [라운지>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경품은 회원가입 시 입력한 휴대전화 번호로 배송됩니다. 번호를 입력하지 않았거나, 변경이 필요하신 경우 [마이페이지>회원정보 수정>추가 정보]에서 입력 및 확인 가능하십니다.

  ☞ 마이페이지 바로가기 (클릭)

- 응모현황에 따라 이벤트 일정, 경품, 당첨인원 등 상세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집계완료

리서치 결과

162명 참여 완료
  • 1. 당신의 나이대를 선택해주세요.
    • 1위 40~49세 (36명)
      22%
      22% Complete
    • 2위 50~55세 (44명)
      27%
      27% Complete
    • 3위 56~60세 (43명)
      26%
      26% Complete
    • 4위 61~65세 (26명)
      16%
      16% Complete
    • 5위 65세 이상 (13명)
      8%
      8% Complete
  • 2. 하루에 뉴스나 정보를 검색하는 시간은 어느 정도나 되나요?
    • 1위 1시간 이내 (39명)
      24%
      24% Complete
    • 2위 1시간~2시간 미만 (74명)
      45%
      45% Complete
    • 3위 2시간~3시간 미만 (26명)
      16%
      16% Complete
    • 4위 3시간~4시간 미만 (8명)
      4%
      4% Complete
    • 5위 4시간~5시간 미만 (8명)
      4%
      4% Complete
    • 6위 5시간 이상 (7명)
      4%
      4% Complete
    • 7위 안 본다 (0명)
      0%
      0% Complete
  • 3. 일상에서 뉴스를 보는 도구는?
    • 1위 신문, 잡지 등 종이 매체 (8명)
      4%
      4% Complete
    • 2위 TV, 라디오 등 방송 (46명)
      28%
      28% Complete
    • 3위 휴대폰, 태블릿 등 스마트 기기 (92명)
      56%
      56% Complete
    • 4위 컴퓨터 (15명)
      9%
      9% Complete
    • 5위 기타 (1명)
      0%
      0% Complete
  • 4. 뉴스 및 정보를 얻는 주 경로는 어디인가요?
    • 1위 TV (50명)
      30%
      30% Complete
    • 2위 신문, 잡지 (9명)
      5%
      5% Complete
    • 3위 라디오 (3명)
      1%
      1% Complete
    • 4위 포털 사이트 (73명)
      45%
      45% Complete
    • 5위 유튜브 (15명)
      9%
      9% Complete
    • 6위 카카오톡(검색 기능 포함) (8명)
      4%
      4% Complete
    • 7위 블로그 (1명)
      0%
      0% Complete
    • 8위 페이스북 (2명)
      1%
      1% Complete
    • 9위 기타 (1명)
      0%
      0% Complete
  • 5. 가장 자주 보는 뉴스 채널은?
    • 1위 KBS (22명)
      13%
      13% Complete
    • 2위 MBC (25명)
      15%
      15% Complete
    • 3위 SBS (11명)
      6%
      6% Complete
    • 4위 YTN (39명)
      24%
      24% Complete
    • 5위 연합뉴스채널 (18명)
      11%
      11% Complete
    • 6위 TV조선 (12명)
      7%
      7% Complete
    • 7위 JTBC (16명)
      9%
      9% Complete
    • 8위 채널동아 (2명)
      1%
      1% Complete
    • 9위 MBN (6명)
      3%
      3% Complete
    • 10위 기타 (11명)
      6%
      6% Complete
  • 6. 뉴스 채널을 선택하는 기준은?
    • 1위 치우치지 않는 공정성 (53명)
      32%
      32% Complete
    • 2위 정치적 성향에 따라 (2명)
      1%
      1% Complete
    • 3위 시청률이 높은 채널 (6명)
      3%
      3% Complete
    • 4위 정확한 보도 등 신뢰성 (72명)
      44%
      44% Complete
    • 5위 빠른 속보 (11명)
      6%
      6% Complete
    • 6위 흥미와 트렌드에 밝은 채널 (7명)
      4%
      4% Complete
    • 7위 앵커에 따라 (5명)
      3%
      3% Complete
    • 8위 기타 (6명)
      3%
      3% Complete
  • 7. 미디어 문해력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 1위 미디어 채널의 기사를 해석하는 능력 (48명)
      29%
      29% Complete
    • 2위 가짜와 진짜 뉴스 정보를 구별해, 그 정보를 자신에게 알맞게 활용하는 능력 (109명)
      67%
      67% Complete
    • 3위 정보를 검색하는 능력 (5명)
      3%
      3% Complete
    • 4위 블로그, 페이스북 등 SNS 채널에 글을 잘 쓰는 능력 (0명)
      0%
      0% Complete
    • 5위 기타 (0명)
      0%
      0% Complete
  • 8. 과거에 비해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도 다양해지고 복잡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전보다 뉴스와 정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나요?
    • 1위 그렇다 (81명)
      50%
      50% Complete
    • 2위 아니다 (69명)
      42%
      42% Complete
    • 3위 잘 모르겠다 (12명)
      7%
      7% Complete
  • 9. 어떤 점이 뉴스와 정보를 이해하기 힘들게 하나요?
    • 1위 복잡해진 미디어 환경 (24명)
      14%
      14% Complete
    • 2위 너무 많은 뉴스 (15명)
      9%
      9% Complete
    • 3위 같은 주제지만 방향성이 서로 다른 뉴스 (47명)
      29%
      29% Complete
    • 4위 무분별한 가짜 뉴스 (61명)
      37%
      37% Complete
    • 5위 이해하기 힘든 건 없다 (14명)
      8%
      8% Complete
    • 6위 기타 (1명)
      0%
      0% Complete
  • 10. 인터넷에서 뉴스와 정보를 접했을 때 어떻게 수용하나요?
    • 1위 그대로 믿는다 (5명)
      3%
      3% Complete
    • 2위 출처에 따라 신뢰도를 달리해 받아들인다 (50명)
      30%
      30% Complete
    • 3위 다양한 정보를 교차해 확인하며 받아들일 것만 받아들인다 (104명)
      64%
      64% Complete
    • 4위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지 않는다 (0명)
      0%
      0% Complete
    • 5위 기타 (3명)
      1%
      1% Complete
  • 11. 유튜브 등 SNS 채널의 신뢰성을 어떻게 평가하나요?
    • 1위 방송이나 신문 잡지에서 보도되지 않는 뉴스의 이면을 다루고 있어 재미있게 본다 (56명)
      34%
      34% Complete
    • 2위 출처가 불분명한 흥미위주 정보가 많아 신뢰하지 않는다 (89명)
      54%
      54% Complete
    • 3위 깨알정보가 많아 자주 검색해서 정보를 얻는다 (16명)
      9%
      9% Complete
    • 4위 기타 (1명)
      0%
      0% Complete
  • 12. 정보를 얻는 유튜브 채널의 분야는?
    • 1위 정치 채널 (20명)
      12%
      12% Complete
    • 2위 경제 채널 (33명)
      20%
      20% Complete
    • 3위 트렌드 채널 (12명)
      7%
      7% Complete
    • 4위 쿡방(요리) 채널 (31명)
      19%
      19% Complete
    • 5위 여행 채널 (12명)
      7%
      7% Complete
    • 6위 건강 채널 (26명)
      16%
      16% Complete
    • 7위 다큐멘터리 채널 (10명)
      6%
      6% Complete
    • 8위 기타 (18명)
      11%
      11% Complete
  • 13. 즐겨 찾는 유튜브 채널은?
  • 14. 가짜 뉴스를 본 적이 있나요?
    • 1위 그렇다 (122명)
      75%
      75% Complete
    • 2위 아니다 (6명)
      3%
      3% Complete
    • 3위 잘 모르겠다 (32명)
      19%
      19% Complete
    • 4위 기타 (2명)
      1%
      1% Complete
  • 15. 가짜 뉴스를 봤다면, 해당 뉴스가 거짓인줄 어떻게 알았나요?
    • 1위 관련 기사 검색을 통해서 발견했다 (31명)
      19%
      19% Complete
    • 2위 가족이나 지인이 알려줘서 알았다 (10명)
      6%
      6% Complete
    • 3위 유튜브 등 SNS 채널을 통해서 확인했다 (13명)
      8%
      8% Complete
    • 4위 언론의 관련 뉴스 팩트체크를 통해서 (52명)
      32%
      32% Complete
    • 5위 출처 확인을 해봤더니 가짜였다 (6명)
      3%
      3% Complete
    • 6위 내용 자체가 너무 터무니 없어서 가짜라고 판단했다 (45명)
      27%
      27% Complete
    • 7위 기타 (5명)
      3%
      3% Complete
  • 16. 가짜 뉴스가 사회 문제로 떠올랐는데 내가 느끼는 심각성은 어느 정도?
    • 1위 심각하다 (112명)
      69%
      69% Complete
    • 2위 간혹 있긴 하지만 심각할 정도는 아니다 (36명)
      22%
      22% Complete
    • 3위 잘 모르겠다 (13명)
      8%
      8% Complete
    • 4위 기타 (1명)
      0%
      0% Complete
  • 17. 어떤 미디어에 잘못된 뉴스, 혹은 진실을 호도하는 기사가 많다고 생각하나요?
    • 1위 TV (14명)
      8%
      8% Complete
    • 2위 신문 (11명)
      6%
      6% Complete
    • 3위 라디오 (1명)
      0%
      0% Complete
    • 4위 포털 사이트 (30명)
      18%
      18% Complete
    • 5위 유튜브 (79명)
      48%
      48% Complete
    • 6위 카카오톡 검색 (2명)
      1%
      1% Complete
    • 7위 지인이 보내준 카카오톡 메시지 (20명)
      12%
      12% Complete
    • 8위 기타 (5명)
      3%
      3% Complete
  • 18. 뉴스의 진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평소 어떤 노력을 하나요?
    • 1위 사실이라고 믿기에 노력하지 않는다 (9명)
      5%
      5% Complete
    • 2위 여러 뉴스를 교차 확인하며 파악한다 (124명)
      76%
      76% Complete
    • 3위 책과 전통 미디어에서 사실을 확인한다 (12명)
      7%
      7% Complete
    • 4위 가족이나 지인에게 물어보며 진짜인지 가짜인지 구분한다 (9명)
      5%
      5% Complete
    • 5위 기타 (8명)
      4%
      4% Complete
  • 19. 이렇게 가짜 뉴스가 늘어난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나요?
    • 1위 법적 규제 미비 (28명)
      17%
      17% Complete
    • 2위 정치사회적 갈등 (34명)
      20%
      20% Complete
    • 3위 가짜 뉴스가 퍼지는 사회 분위기 (16명)
      9%
      9% Complete
    • 4위 검증되지 않은 인터넷 미디어 (47명)
      29%
      29% Complete
    • 5위 빠르게 전파할 수 있는 IT 강국의 폐해 (4명)
      2%
      2% Complete
    • 6위 유튜브 등 1인 미디어의 급성장 (31명)
      19%
      19% Complete
    • 7위 기타 (2명)
      1%
      1% Complete
  • 20. 올바른 정보를 받아들이고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 1위 사실 관계를 확인하려는 개인의 노력 (35명)
      21%
      21% Complete
    • 2위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 (8명)
      4%
      4% Complete
    • 3위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7명)
      4%
      4% Complete
    • 4위 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 (49명)
      30%
      30% Complete
    • 5위 가짜 뉴스 처벌 등 법률적 규제 (61명)
      37%
      37% Complete
    • 6위 기타 (2명)
      1%
      1% Complete
이전글

대한민국 5060 구강 건강 실태 리서치

다음글

대한민국 5060 치매 인식도 리서치

댓글
고*란
정보를주셔서 감사합니다
2020-09-16 16:26
대댓글
수선화
바른 뉴스~
2020-09-17 10:14
대댓글
리치
가짜뉴스에 대해 다시한번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020-09-17 10:30
대댓글
때형
때에 맞는 정보와 이벤트 고맙습니다!!!
2020-09-17 11:35
대댓글
예쁜나
실컷 참여했더니 그제서야 로그인하라고 해서 다시 답을 작성했어요. 로그인하고 참여하라고 공지부터 하세요요
2020-09-17 11:44
대댓글
이영지
다른분들의 의견을 볼 수 있어서 좋으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2020-09-17 16:40
대댓글
메이크잇빅
뉴스 및 언론보도의 신뢰성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020-09-17 19:24
대댓글
하나린
이렇게 또 하나의 지식을 얻게 되었네요. 전성기 항상 감사해요^^
2020-09-17 20:27
대댓글
윤**진
정말 다시한번 검색하고 여려매체로 알아본후 퍼가기하면 좋을것같아요. 검증되지않은것을 무분별하게 믿지맙시다.
2020-09-18 07:02
대댓글
HAPPINESS
코로나19로 인해 더 무분별한 언론매체와 뉴스보도의 진위를 깨닫는 시간이었어요~^^
2020-09-19 16:52
대댓글
정*민
리서치 참여하였습니다.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이 다양해짐으로써 무분별한 정보의 시대에 살고 있는데 미디어 문해력을 테스트해볼 수 있는 유익한 리서치네요. 가짜 뉴스를 판별할 수 있는 올바른 문해력을 갖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 많은 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이벤트 공유합니다. https://kmocarina.blog.me/222097325985 / https://story.kakao.com/jjangk79/fR9tzRCwLT0
2020-09-23 11:47
대댓글
송*호
https://blog.naver.com/wjdals0210/222097625962 온텍트 시대에 모바일로 뉴스를 많이 접하기에 미디어 문해력이 더 요구됩니다 라이나전성기재단의미디어문해력리서치도움이 되었습니다
2020-09-23 16:51
대댓글
믿음
리서치에 참여하였습니다. 지금 세상은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정보의 홍수 시대에 살고 있는데 미디어 문해력을 테스트 해 볼 수 있는 시간이예요. 가짜 뉴스를 판별할 수 있는 올바른 문해력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이벤트를 공유합니다. https://story.kakao.com/s/share?url~, https://www.facebook.com/v3.0/dialog/share?app_id=420566881881536&amp;channel_url~
2020-09-23 22:16
대댓글
조*우
정제되고 책임지는 뉴스 필요
2020-09-24 10:02
대댓글
조*우

2020-09-24 10:02
대댓글
탱크
다른분들의 의견을들을수있어 좋았고 가짜뉴스가 많은혼동을줍니다 강력한 처벌이필요한것같습니다
2020-09-24 10:16
대댓글
크리스
과정보 바다에서 각 개인의 판단노력이 중요^^
2020-09-24 13:59
대댓글
송*호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789658261171888&amp;id=100003831956108 가짜뉴스 만들지도 보지도 맙시다~ 이건 인터넷 때문에 만들어진 폐단인것 같습니다.
2020-09-24 15:36
대댓글
봄날제비꽃
상식 이하의 가짜뉴스는 그대로 믿는 사람에게도 책임있는듯
2020-09-24 15:53
대댓글
투게더
여러 의견들이 다양하네요
2020-09-25 21:34
대댓글
블루베리
미디어 문해력을 이해해가며 정확한 뉴스와 정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팩트를 크로스 체크하며 미디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노력들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다시금 갖게 되었네요!
2020-09-25 22:57
대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