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 시절, ‘삐삐’의 추억 속으로!

기사 요약글

과거로 거슬러 가보면, 지금보다 조금 불편하긴 해도 그 시절의 추억과 낭만을 공유할 수 있던 ‘90년대의 스마트 기기’가 있었다. 바로 ‘삐삐’. 삐삐로 사랑을 주고받고 우정을 공유했던 그때를 기억하는가? 

기사 내용

 

 

 

우리는 현재 스마트시대에 살고 있다. 지금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거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로써 누군가에게 연락한다는 것은 아주 쉽고 간단한 일이 되었다. 또한 굳이 통화를 하지 않더라도 SNS 등을 통해 서로의 안부를 물을 수도 있다. 이제 일상생활 속에서 스마트폰의 사용은 너무 당연하고 자연스럽게 생각되어, 마치 태초부터 스마트폰이 있었다는 착각마저 들 정도로 어느새 우리 삶 속에 깊게 들어와 있다.

 

하지만 과거로 거슬러 가보면, 지금보다 조금 불편하긴 해도 그 시절의 추억과 낭만을 공유할 수 있던 ‘90년대의 스마트 기기’가 있었다. 바로 ‘삐삐’. 삐삐로 사랑을 주고받고 우정을 공유했던 그때를 기억하는가? 

 

 

 

 

그 시절 우리의 스마트기기, ‘삐삐’

 

 

요즘엔 스마트폰이 없는 세상은 꿈도 꿀 수 없는 시대이다. 불과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고,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세상에 나온 것도 불과 1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었다. 하지만 휴대전화가 없던 그 시절, 우리에겐 바로 ‘이것’이 있었다. 영어로는 Pager, 일본에서는 포켓벨이라고 불리던 무선호출기. 일명 ‘삐삐’이다.

 

혁신적인 통신기기였던 ‘삐삐’의 정식명칭은 ‘무선호출국용 선책호출 수신장치’. 울리는 소리를 줄여 일명 ‘삐삐’라고 불렸다. 조그마한 크기로 한쪽 면에 액정숫자판이 달려 있어 보통 10자리 정도의 숫자가 표시되었는데, 지금의 휴대폰 번호처럼 개별 번호가 있고, 전화하듯 삐삐번호를 누른 후 연락받을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었다. 그렇게 되면 상대방의 삐삐에 입력된 전화번호가 액정에 뜨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사람들은 종종 전달받은 번호로 전화를 걸어 연락을 주고받곤 했고, 때문에 공중전화 앞에 길게 줄을 선 사람들은 흔한 풍경이었다. 

 

 

 

 

그 시절 우리의 연결고리, ‘삐삐 언어’

 

 

요즘 헤어질 때 인사말이 “카톡 할게” 라면, 그 시절 헤어질 때 흔한 인사말은 “삐삐칠게.” 였을 정도로 90년대에는 삐삐가 큰 유행이다.

 

휴대전화가 등장하기 이전, 삐삐는 지금의 스마트폰만큼 혁신적인 통신기기였고, 1997년의 삐삐의 가입자 수는 1,500만 명을 돌파할 정도였으니 그 인기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지금이야 공중전화 박스를 찾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 되었지만, 삐삐의 대중화로 인해 그 당시 길거리 공중전화 박스에 길게 늘어선 줄은 너무나도 일상적인 풍경이었다.

 

휴대전화가 양방향 통신이라면 삐삐는 ‘단방향통신’이었다. 즉, 호출번호만 확인할 수 있는 수신기인 셈. 그래서 삐삐가 오면 호출한 사람과 통화를 하기 위해 호출번호로 전화를 걸어야 했는데, 만약 공중전화에 길게 줄이 늘어선 상황이라면 상대방과 연락을 하는데 그만큼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당시, 젊은이들의 연애수단으로 이 ‘삐삐’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몰래 연애를 하고 있을 때 모두가 자고 있는 시간에는 삐삐가 와도 쉽게 전화를 걸 수도 없었다. 요즘처럼 SNS, 메신저 등이 있거나 문자라도 보낼 수 있다면 좋았겠지만, 이 삐삐에는 10여 개의 숫자만 보낼 수가 있었기 때문. 이러한 제약 덕분에 생겨난 것이 바로 그 시절 은어와도 같았던 ‘삐삐언어’이다.

 

 

추억의 삐삐언어 하나 – 음성지원방식

 

삐삐언어는 숫자를 이용해서 간단한 메시지를 전하는 방법으로, 처음에는 글자와 비슷한 발음의 숫자를 조합하여 보내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급하게 연락을 취해야 할 때는 연락 받을 전화번호 뒤에 ‘빨리빨리’ 와 발음이 비슷한 ‘8282’를 추가하는 것. 이밖에 175(일찍와), 7942(친구사이), 981(굿바이)등이 있다.

 

 

추억의 삐삐언어 둘 – 글자모양방식

 

소리와 비슷한 숫자형태를 넘어서, 숫자의 조합으로 단어를 만드는 형태로 진화되었다. 예를 들면 9090(gogo), 38317(LIEBE: "사랑"이라는 뜻의 독일어)등이 있다. 이렇게 글자모양방식을 활용한 삐삐언어를 살펴보면 ‘참 영특하고 기발하다’는 생각이 자동으로 떠오른다.

 

 

추억의 삐삐언어 셋 - 연인 사이

 

삐삐는 그 당시 신세대의 연애 도구로 많이 활용되곤 했다. 사랑하는 마음을 담은 서로만의 언어로 사랑을 표현하기도 했다. 0404(영원히 사랑해), 1010235(열렬히 사모), 0242(연인 사이), 1004(천사), 3575(사무치게 그립다), 1000024(많이 사랑해)등이 있다.

 

 

추억의 삐삐언어 넷 – 우리 친구 아이가?

 

친구끼리 간단하게 메시지를 전할 때도 삐삐언어를 많이 사용했다. 1212(술 마시자, 홀짝홀짝), 7700(드라이브 가자, 뛰뛰빵빵), 7179(친한 친구), 1414(식사하자), 9413(구사일생)등이 있다. 그 시절 친구들과 약속을 잡고, 우정을 돈독히 하며 서로 간의 소통을 했던 지난날이 떠오르게 하는 삐삐 언어이다.

 

추억의 삐삐언어들

 

• 486 =사랑해

• 4486 =죽도록 사랑해

• 0404 =영원히 사랑해

• 5825 =오빠 미워

• 9797 =구구절절 할 이야기가 많다

• 1010235 =열렬히 사모

• 0027 =땡땡이 치자

• 8255 =빨리 와

• 10288 =열이 펄펄 나요

• 2848 =이판사판

• 100 =BACK

• 2255 =이리오오

• 0242 =연인 사이

• 505 =SOS

• 5844 =오빠를 사랑하는 사람

 

 

 

광역삐삐, 문자삐삐 등 발전해가긴 했지만 ‘삐삐’도 점차 하락세를 타게 된다. 1990년대 후반부터 휴대전화의 가격이 점점 내려가고, 점차 대중화되었기 때문. 결국 혁신적인 통신기기로써 한 시대를 풍미했던 ‘삐삐’도 자연스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휴대전화가 세상에 등장하기 전, 처음으로 어디에 있든 연락을 가능하게 해준 ‘삐삐’. 바쁜 일상 속 삐삐의 추억으로 잠깐의 휴식을 취해보자.

 

 

사진 셔터스톡

 

 

[이런 기사 어때요?]

 

>> [전성기TV] 밥 잘 먹는 식식(喰喰)한 누나들의 맛깔난 이야기

 

>> 30년 같은 자리, 을지다방 쌍화차와 아침 라면은 옛날 그대로

 

>> 우리가 사랑했던 그때 그 시절의 라면들

 

댓글
댓글